비토리아 (브라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토리아는 브라질 남동부 에스피리투산투 주의 주도이며, 브라질에서 가장 작은 주도이다. 비토리아 만에 위치하며, 본토와 비토리아 섬으로 나뉘어 있다. 열대 기후를 보이며, 항만 활동, 무역, 산업, 관광 서비스업을 기반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진다. 에우리쿠 데 아기아르 살레스 공항과 비토리아 항, 투바랑 항을 통해 교통이 이루어지며, 브라질의 주요 항구 도시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피리투산투주 - 구아라파리
구아라파리는 브라질 비토리아에서 남쪽으로 떨어진 아름다운 해변 도시로, 맹그로브 보호 구역과 주립 공원이 있으며 일부 해변은 자연 방사선 수치가 높은 곳으로 알려져 1585년부터 유럽인들이 거주하기 시작했고 현재는 공항이 위치해 있다. - 이스피리투산투주 - 도밍구스마르칭스
도밍구스마르칭스는 브라질 에스피리투산투주의 "녹색 도시"로 불리는 산악 도시로, 울창한 아열대 우림과 페드라 아줄 주립공원으로 유명하며, 독일 문화와 포메라니아인 이민자들의 독특한 문화가 보존된 관광 및 농업 중심지이다. - 브라질의 항구 도시 - 리우데자네이루
리우데자네이루는 브라질의 도시이자 주도로, "1월의 강"이라는 뜻의 포르투갈어 이름을 가지며, 포르투갈 탐험대에 의해 발견 및 건설된 후 금광 발견과 포르투갈 왕실 망명을 거쳐 유럽 외 최초 유럽식 수도이자 브라질 제국 수도로 번영했고, 수도 이전 후에도 브라질 제2의 도시이자 경제, 문화, 관광 중심지로서 2016년 올림픽을 개최했으나,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문화유산에도 불구하고 빈부격차와 범죄 문제를 안고 있다. - 브라질의 항구 도시 - 포르투알레그리
포르투알레그리는 브라질 히우그란지두술 주의 주도이자 남부의 주요 산업 및 상업 중심지로서, 수운과 교통의 요지이며 유럽 이민자 유입으로 다양한 문화를 형성했고, 사회·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브라질의 주도 - 리우데자네이루
리우데자네이루는 브라질의 도시이자 주도로, "1월의 강"이라는 뜻의 포르투갈어 이름을 가지며, 포르투갈 탐험대에 의해 발견 및 건설된 후 금광 발견과 포르투갈 왕실 망명을 거쳐 유럽 외 최초 유럽식 수도이자 브라질 제국 수도로 번영했고, 수도 이전 후에도 브라질 제2의 도시이자 경제, 문화, 관광 중심지로서 2016년 올림픽을 개최했으나,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문화유산에도 불구하고 빈부격차와 범죄 문제를 안고 있다. - 브라질의 주도 - 브라질리아
브라질리아는 브라질의 수도로, 1960년 내륙 개발과 국토 균형 발전을 목표로 건설되었으며, 십자가 형태의 도시 구조와 모더니즘 건축 양식으로 유명하다.
비토리아 (브라질)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공식 명칭 | 비토리아 시 |
별칭 | 꿀 섬 (Ilha do Mel) 햇볕이 잘 드는 도시 (Cidade Ensolarada) 빅스 (Vix) |
로마자 표기 | Vitória |
번역 | 승리 |
지리 | |
위치 | 브라질 이스피리투산투주 |
면적 | 전체: 93.381 km² 광역 도시권: 3204.26 km² |
해발 고도 | 4 m |
역사 | |
설립일 | 1551년 9월 8일 |
인구 | |
인구 (2022년 추정) | 322,869 명 |
인구 밀도 | 3,324.33 명/km² |
광역 도시권 인구 | 1,880,828 명 |
인구 별칭 | 비토리아 사람 (vitoriense) |
정치 및 행정 | |
시장 | 로렌조 파졸리니 |
소속 정당 | REP |
경제 | |
GDP (PPP, 2015년 불변 가치) (2023년) | 326억 달러 |
사회 및 지표 | |
HDI (2010년) | 0.845 - 매우 높음 |
교통 | |
주요 공항 | 비토리아 국제공항 |
연방 고속도로 | [[File:BR-101 (escudo).svg|22px|link=BR-101 (Brazil highway)]] BR-101 (브라질 고속도로) [[File:BR-262.svg|22px|link=BR-262 (Brazil highway)]] BR-262 (브라질 고속도로) |
기타 정보 | |
시간대 | BRT |
UTC 오프셋 | -3 |
우편 번호 | 29000-001 ~ 29099-999 |
지역 번호 | +55 27 |
웹사이트 | 비토리아 시 공식 웹사이트 |
2. 지리
비토리아는 브라질 남동부 해안, 에스피리투산투 주에 위치하며 주의 주도이다. 면적은 97.12km²로 주에서 가장 작고, 브라질 주도 중에서도 가장 작다. 비토리아 만에 위치하며, 본토와 비토리아 섬으로 나뉜다. 동쪽으로 대서양, 북쪽으로 세하, 서쪽으로 카리아시카, 남쪽으로 빌라 벨랴와 경계를 이룬다. 이 도시들과 함께 비토리아 광역권(대 비토리아)을 형성한다.
해안 평야 지역에 속하며, 습곡 및 퇴적층 지역으로 나뉘어 울퉁불퉁한 지형을 보인다. 대서양 숲 생물군계의 일부이며, 열대 우림, 맹그로브, 사빈, 사구 식생으로 구성된다. 산타 마리아 다 비토리아 강과 주쿠 강이 광역권에 물을 공급한다. 주요 해변은 캄부리 해변, 쿠르바 다 주레마 해변, 카스타네이라스 해변이다. 9개의 행정 구역과 80개의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토리아 만은 대륙의 일부인 34개의 작은 섬으로 이루어진 다도해이다. 원래 이 지역에는 50개의 섬이 있었으나, 그 대부분은 매립으로 인해 비토리아 섬의 일부가 되었다.
섬에 있는 비토리아 시와 본토는 6개의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주 정부는 새로운 다리 계획에 착수했다. 비토리아는 브라질 내에 있는 "섬에 건설된 주도" 3개 중 하나이다(나머지는 플로리아노폴리스, 상 루이스).
지질학적으로 섬은 대륙의 연장이다. 바다에 둘러싸인 화강암 위에 있으며, 맹그로브 숲과 습지에 둘러싸여 있다.
2. 1. 지형
섬의 지형은 대륙의 연장선으로,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다와 브라질 토착의 휴식지-맹그로브 식생으로 둘러싸여 있다. 비토리아 섬의 중앙 산괴인 폰테 그란데 언덕(Morro da Fonte Grande)은 해발 308.8m이며, 주요 화강암 노두로는 해발 296m의 페드라 도스 도이스 올료스(Pedra dos Dois Olhos)와 해발 194m의 상 베네디투 언덕(Morro de São Benedito)이 있다. 비토리아의 최고점은 본토 해안선에서 1,100km 떨어진 트린다데 섬에 위치한 데세자두 봉우리(Pico do Desejado)로 해발 601m이다.2. 2. 기후
비토리아는 열대 기후로, 연평균 기온은 23°C이며 10월부터 1월까지 강우가 집중된다. 겨울철에는 기온 변동이 커서 가뭄 시에는 30°C까지 올라가거나 한랭 전선 발생 시 12°C까지 내려갈 수 있다. 역대 최고 기온은 2006년 2월 25일에 기록된 39.6°C이며, 최저 기온은 9°C 미만이다.비토리아는 브라질 수도 중 리우데자네이루와 함께 연간 강수량이 가장 낮은 도시 중 하나로, 약 918mm의 강수량을 보인다. 해양성 기후와 산의 영향으로 기온 변화가 적은 편이다.
대기 오염과 도시 열섬 현상, 그리고 섬의 여러 산들이 남풍을 막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비토리아는 에스피리투산투 주에서 가장 더운 도시 중 하나이며, 주 평균보다 최저 기온이 2°C 정도 높다. 또한, 도시의 강수량은 에스피리투산투 주 전체 평균보다 약 350mm 적다. 이러한 온도 변화는 인근 도시인 빌라 벨라와 비교하면 뚜렷하게 나타나며, 특히 겨울철에 빌라 벨라의 최저 기온이 비토리아보다 1°C에서 3°C 정도 더 낮다.
1991년부터 2020년까지 비토리아의 월별 평균 최고 기온은 1월과 3월에 31.4°C, 최저 기온은 7월과 8월에 19°C 대였다.[5] 연간 강수량은 1 mm 이상의 비가 내린 날을 기준으로 1월에 8.7일, 11월에 12.3일 정도였다.[5]
3. 역사
에스피리투산투 주의 초기 수도는 빌라 벨랴였으나, 투피-과라니어를 사용하는 원주민과 프랑스 및 네덜란드의 공격으로 인해 1551년 9월 8일 비토리아로 이전했다. 비토리아라는 이름은 사령관 바스코 페르난데스 쿠티뉴가 고이타카스 아메린디언과의 전투에서 승리한 것을 기념하여 붙여졌다.
19세기까지 비토리아는 좁고 무질서한 작은 길들이 있는 농업 도시였다. 1823년 2월 24일, 비토리아는 도시가 되었지만, 섬의 고립으로 인해 발전이 더뎠다. 1894년부터 커피 가격 상승으로 비토리아 항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도시 저지대에 매립이 이루어지고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1908년 제로니모 몬테이로 주지사 재임 기간 동안 학교, 모스코조 공원, 산타 카사 다 미제리코르디아 병원, 산토 안토니오 묘지 등이 건설되었고, 공공 문서 보관소, 주립 도서관, 주립 미술관 등이 설립되었다.
1927년 섬과 본토를 연결하는 다리가 개통되었고, 1941년 첫 번째 항구 부두가 건설되었다. 1942년에는 비토리아 미나스 철도/Estrada de Ferro Vitória a Minaspt가 완성되어 이타비라 광산의 철광석이 운반되었고, 1966년에는 투바랑 항/Porto de Tubarãopt이 개항하여 히우도세 (현 발레)사의 수출항으로 발전했다. 1970년 비토리아 항구는 전국적으로 중요한 항구로 부상했으며, 산업화가 시작되었다.
4. 인구
2022년 브라질 지리통계연구소(IBGE)에 따르면, 비토리아에는 322,869명이 거주하고 있다.[8] 인종 구성은 백인 45.6%, 파르두 (혼혈) 41.6%, 흑인 12.4%, 아시아인 0.2%, 아메리카 원주민 0.2%이다.[8]
비토리아는 게툴리우 바르가스 재단의 연구에 따르면 브라질에서 두 번째로 삶의 질이 높은 수도이며, 일하기 좋은 도시 중 9위로 선정되었다. 에스피리투산투의 수도는 브라질의 수도들 중에서 1인당 소득이 가장 높다.
4. 1. 인구 통계
5. 종교
2000년 IBGE 조사에 따르면 가톨릭 63.36%(185,211명), 개신교 22.18%(64,846명), 무교 10.53%(30,791명), 영매주의 2.04%(5,975명)이다.[9]
6. 경제
비토리아의 경제는 항만 활동, 무역, 산업, 관광 서비스 제공을 기반으로 한다.[10] 비토리아 항과 투바랑 항은 브라질에서 가장 중요한 두 항구이다.[10] 아르셀로미탈 투바랑, 발리와 같은 철강 및 광산 회사가 주요 산업을 이룬다.
비토리아의 GDP는 주 경제의 20%를 차지하며, 3차 산업(서비스업)이 GDP의 60%를 차지한다. 산업은 비토리아 경제의 30%를 차지하며, 페트로브라스와 같은 채굴 부문의 대기업을 보유하고 있다.[10] 주요 쇼핑 센터로는 쇼핑 비토리아, 쇼핑 노르테 술 등이 있다.
비토리아는 중요한 항만 도시로, 세 개의 항만을 가지고 있다.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품 및 공업 제품을 수출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1900년대 초 비토리아는 커피 하역 항구 및 거래 시장으로서 상파울루의 산투스와 경쟁했다.
경제 다변화 이후, 오늘날에는 철광석 제조, 제철업의 공업 단지가 큰 부분을 차지한다. 최근 석유 산업은 경제의 주요 동력이 되고 있다. 에스피리투산투 주는 최근 몇 년 동안 브라질 유수의 석유 제품 제조 도시가 되었다. 증가하는 비즈니스 회의와 부동산 성장은 석유 관련 경제 활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비스업은 잘 발전해, 시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한다.
2005년 기준 비토리아 시의 GDP는 149억 9,365만 헤알이며, 시민의 평균 연수입(1인당 소득)은 4만 7,866 헤알이다.
7. 교육
포르투갈어는 공식 국어이며, 학교에서 가르치는 주요 언어이다. 또한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의 공식 교육 과정의 일부로 제2외국어 교육이 필수적이다. 두 번째로 많이 가르치는 언어는 영어이며, 그 다음으로 스페인어, 프랑스어 및 이탈리아어가 있다. 에스피리투 산투 주 내에서는 독일어 (특히 동 포메라니아 방언)가 프랑스어 및 이탈리아어와 거의 같은 수의 화자를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공식 교육 과정의 일부로 제공되지 않는다.
주요 교육 기관으로는 [http://www.ufes.br/ 에스피리투 산투 연방 대학교](Universidade Federal do Espírito Santo, UFES), [http://www.ifes.edu.br/ 에스피리투 산투 연방 교육, 과학 및 기술 연구소](Instituto Federal de Educação, Ciência e Tecnologia do Espírito Santo, IFES) 등이 있다. 과거에는 일본인 국제 학교인 비토리아 일본인 학교 (ヴィトリア日本人学校, Vitoria Nihonjin Gakkō)가 있었다.
8. 교통
- 에우리쿠 살레스 공항(Eurico Sales Airport)
- 비토리아 항 - 비토리아 만이 좁기 때문에 입항이 브라질에서 가장 어렵다고 여겨진다.
- 투바랑 항/Porto de Tubarãopt - 1960년대에 히우 도세(현 발리)사에 의해 설계된 항구. 1966년 개항. 바다에서의 접근이 용이하다.

8. 1. 공항
에우리쿠 데 아기아르 살레스 공항 (고이아베이라스)은 520만 제곱미터가 넘는 부지에 위치해 있다. 1946년에 완공된 첫 단계를 시작으로 비토리아 공항은 여러 차례 확장 및 현대화를 거쳤지만, 현재 수요는 연간 290만 명의 여객 수용 능력을 넘어섰다. 여객 터미널은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으며, 건설 면적은 약 17,000제곱미터이고, 체크인 구역, 25개의 체크인 카운터, 탑승 및 도착 라운지가 있다. 최근 계류장에 새로운 항공기 주차 공간을 건설하여 공항의 운영 효율성을 개선했다.2012년에는 370만 명 이상의 여객이 공항을 이용했으며, 2013년에는 거의 400만 명으로 증가했다. 비토리아는 화물 터미널을 갖춘 Infraero 네트워크의 32개 공항 중 하나이다. 1999년 5월, 비토리아와 미국(마이애미) 간의 첫 번째 국제 화물 직항 노선이 비토리아에서 운항을 시작하여 에스피리투 산투주로의 수입을 용이하게 했다. 현재는 일주일에 5편의 해당 항공편이 운항하고 있다.
8. 2. 대중교통
비토리아는 두 가지 도시 대중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시내에서만 운행되는 시스템은 버스 색상 때문에 현지인들에게 "verdinhos"로 알려져 있다. 시립 버스 차량은 52개의 일반 노선과 에어컨이 설치된 2개의 선택 노선을 운영하는 3개의 버스 회사로 나뉜다. 통행료 지불 시스템은 전자 티켓이며, 시내 모든 구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Transcol 시스템은 비토리아와 다른 도시를 연결하며, 비토리아 가(Av)와 베이라 마르 가(Av)와 같은 주요 간선도로를 따라 운행한다. 시의 일부 지역은 주요 간선도로에서 벗어나 특정 노선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자르딤 캄부리 지역은 카라피나 터미널과 연결되어 있고, 세라 시의 라란제이라스를 800번 노선을 통해 연결하며, 그란데 상 페드로와 그란데 상토 안토니오 노선은 518번과 535번 노선으로 운행되며 이베스 터미널(빌라벨랴), 자르딤 아메리카(카리아시카), 캄푸 그란데(카리아시카), 카라피나(세라)와 연결된다. 이 시스템은 광역권의 전략적 지점에 분산된 버스 터미널을 통해 통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나 주도는 2009년 돈 보스코 터미널 폐쇄 이후 Transcol 시스템 터미널을 더 이상 갖추고 있지 않다.
8. 3. 도로
주요 접근 도로는 브라질 남부와 북동부를 비토리아 광역권과 연결하는 고속도로인 BR-101, 중부 지역과 비토리아를 연결하는 BR-262가 있다. 국도 외에도, 지역 해안 지역을 연결하는 ES-060이 시내를 통과한다.8. 4. 항구
비토리아에는 두 개의 항구가 있는데, 비토리아 항과 투바랑 항이 있다.비토리아 항은 브라질 전체에서 선박이 접근하기 가장 어려운 항구이다. 비토리아 만은 매우 좁고, 바위와 언덕이 있어 화물선과 해상 크루즈선이 부두로 접근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선박, 자동차, 사람 모두 공간을 놓고 경쟁하며, 교통 제한으로 인해 항구의 사용이 제한된다. 현재 이 항구는 주로 크루즈 선박과 선박 및 석유 플랫폼 수리에 사용된다.
투바랑 항은 발리 회사가 비토리아 항구가 포화 조짐을 보이면서 1960년대에 설계한 항구로, 바다로의 접근이 훨씬 용이하다. 1966년 개항 이후, 그 규모가 점차 증가하여 지난 10년 동안 연간 8천만 톤에 달했다. 원래 철광석 수출을 위해 만들어졌지만, 최근 몇 년 동안 곡물과 대두박을 저장하는 사일로를 추가했다. 이 항구는 캄부리 해변의 한쪽 끝에 위치해 있다.
8. 5. 철도
비토리아-미나스 철도는 중앙 지역에서 화물을 수송하며, 비토리아에서 벨루오리존치까지 여객도 수송한다.8. 6. 교량
다르시 카스텔루 드 멘돈사 부교는 세 번째 다리(포르투갈어: Terceira Ponte)라고도 불리며, 비토리아와 빌라 벨랴를 연결한다. 이 다리는 브라질에서 두 번째로 높은 교량이다.9. 스포츠
이 도시에는 히우 브랑쿠 아틀레치쿠 클루비(히우 브랑쿠), 비토리아 FC (ES)(비토리아 또는 비토리아-ES), 에스피리투 산투 FC(에스피리투 산투), 두지 FC(두지) 등 4개의 프로 축구팀이 있다.[12] 이 팀들은 현재 캄페오나투 카피샤바 1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12]
10. 국제 관계
오이타시(일본)
아바나(쿠바)
만토바(이탈리아)
다름슈타트(독일)
됭케르크(프랑스)
빌라 벨랴(브라질)
헤시피(브라질)
카스카이스(포르투갈)
주하이(중국)
베이루트/بيروتar(레바논)
비토리아-가스테이즈(스페인)
칭다오(중국)[13]
모빌(미국)[13]
이키케(칠레)[13]
마이애미(미국)
10. 1. 자매 도시
wikitable
11. 역사적 건축물
비토리아에는 연방, 주 또는 시립 기념물로 지정된 식민지 시대와 제국 시대의 수많은 역사적 건축물이 있다.
- 카를루스 고메스 극장/Teatro Carlos Gomespt
- 승리의 성모 대성당, 비토리아
- 구 시가지
- 코스타 페레이라 광장
- 성 루시아 예배당
- 상 곤살루 교회
- 카라무루 고가교
- 안시에타 궁전
- 솔라르 몬자르짐 박물관
- 도밍구스 마르틴스 궁전
- 상 프란시스쿠 수도원
- 로사리오의 성모 교회
- 산투 안토니우 성역
12. 유명 인물
- Alison Ceruttipor - 비치 발리볼 선수
- 루안 가르시아 - 축구 선수
- Flávio Salamankapor - 발레 무용수
- 파울루 멘데스 다 로샤 - 건축가
- 리안코 - 축구 선수
- 제오바니 시우바 - 축구 선수, 정치인
- Esquiva Falcãopor - 프로 복서
- 브루노 메네게우 - 축구 선수
분류:비토리아 (브라질) 출신 인물
13. 기타 비토리아 광역권 도시
빌라 벨랴, 푼당, 과라파리, 세하, 카리아시카, 비아나 등이 비토리아 광역권에 속한다.
참조
[1]
웹사이트
IBGE 2022
https://cidades.ibge[...]
[2]
웹사이트
TelluBase—Brazil Fact Sheet (Tellusant Public Service Series)
https://tellusant.co[...]
Tellusant
2024-01-11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pnud.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3-08-01
[4]
웹사이트
Censo 2022: quase metade da população capixaba vive na Grande Vitória
https://www.es.gov.b[...]
2024-07-02
[5]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Brazil-Vitoria
https://www.nodc.noa[...]
NOAA
2024-01-17
[6]
웹사이트
Climate and monthly weather forecast Vitoria, Brazil
https://www.weather-[...]
2024-01-17
[7]
웹사이트
UV Index in Vitoria, Brazil
https://nomadseason.[...]
2024-01-17
[8]
웹사이트
Censo 2022 - Panorama
https://censo2022.ib[...]
[9]
웹사이트
Religion in Vitória by IBGE
http://www.sidra.ibg[...]
[10]
웹사이트
Vitória
https://brasilescola[...]
[11]
웹사이트
"過去に指定・認定していた在外教育施設"
http://www.mext.go.j[...]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2015-01-15
[12]
웹사이트
Estadual Série A 2017
http://www.futebolca[...]
Federação de Futebol do Estado do Espírito Santo
2017-06-04
[13]
웹사이트
Redes de Cidades :: Prefeitura :: Prefeitura de Vitória
http://www.vitoria.e[...]
2015-09-21
[14]
웹사이트
IBGE 2020
https://cidades.ibge[...]
[15]
서적
GDP
http://www.ibge.gov.[...]
IBGE
2007-07-18
[16]
서적
per capita income
http://www.ibge.gov.[...]
IBGE
2007-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